무버블 타입의 DB를 EUC-KR에서 UTF-8로 바꾸기
기존에 블로그를 EUC-KR로 운영하다가 이번에 UTF-8로 변경했다. 그 과정에서 몇 가지 방법을 시도해 보았는데 결국은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했다. (서버의 iconv 등을 이용한 방법은 이상하게도 도중에 에러가 발생해서 성공하지 못했다.)
미리 확인해 두어야 할 사항은 서버의 DB가 UTF-8을 지원하고 있는가이다. 요새 대부분의 웹호스팅 업체에서는 태터툴즈의 영향 때문에 UTF-8을 지원하고 있다. 그리고 만약을 위해서 2중, 3중의 데이터 백업은 필수!
- 일단 "Utilities > EXPORT" 기능을 이용해서 모든 데이터를 텍스트 파일(.txt)로 다운 받는다. 무버블 타입은 본문뿐만 아니라 코멘트, 트랙백 데이터까지 모두 텍스트 포맷으로 익스포팅 해주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. 간혹 익스포팅이 도중에 중단되어 글 일부만 다운되는 경우가 있다. 반드시 글 전체가 익스포팅 되었는지 확인하고 중단 현상이 반복될 경우에는 서버의 문제를 의심해 봐야한다.
- 만약을 위해 DB도 백업을 받아둔다. 방법은 대부분의 웹호스팅 업체의 도움말에 나와있다.
- 자신이 변경했던 각종 템플릿과 아카이브 저장 옵션 등을 백업 받는다.
- EmEditor를 다운 받는다. 무료(free) 버전으로 충분하다. UltraEdit의 경우 변환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한다.
- 익스포팅한 텍스트 파일을 EmEditor에서 연다.
- EmEditor의 "File > Save As"를 선택한다. 저장 옵션 중 "Encoding" 항목을 "UTF-8"로 변경하고 저장한다. 이 때 만약을 위해 파일이름은 원본과 다르게 저장하는 것이 좋다.
- 내 경우는 무버블 타입 3.31 버전을 처음부터 다시 설치했다. DB 역시 (무버블 타입의 테이블들이) 비어있는 상태에서 시작했다.
- "Utilities > IMPORT"에서 익스포팅한 텍스트 파일을 선택해서 임포팅한다. 파일 크기가 커서 임포팅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는, 서버의 "mt/import" 디렉토리에 텍스트 파일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해도 마찬가지 결과를 얻을 수 있다.
- 임포팅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고, 각종 템플릿과 아카이브 저장 옵션 등을 원래대로 지정한다. 만약 예전에 사용하던 템플릿에 캐릭터 인코딩이 "EUC-KR"로 강제 지정되어 있다면 "UTF-8" 또는 <$MTPublishCharset$>로 변경한다.
Posted by hochan at 2006.07.18 02:05PM | UTF-8, 무버블 타입
TrackBack URL: http://hochan.net/mt/mt-tb.cgi/740
▶ Think Network 그룹에서 토론
TrackBack URL: http://hochan.net/mt/mt-tb.cgi/740
▶ Think Network 그룹에서 토론